중고자동차 구매전 사고부위 확인을위해 명칭을 알아보자(성능상태 점검기록부)
중고자동차 구매시 중고자동차 성능상태 점검기록부를 꼭 확인하고 구매해야한다.
사고부위 명칭이나 위치를 정확히 알아야 실제 자동차 매물을 봤을때 사고부위를 확인할 수
있고 사후 자동차 관리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된다.
대부분 사람이 자동차 부위별 용어를 모르기 때문에 사전에 공부하시기 바란다.
* 차량의 부위별 명칭을 간단하게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1. 후드(보닛 또는 본네트는 정식 명칭도 아니고 요즘은 쓰지않는 구식 정비용어입니다)
2. 헤드램프
3. 턴 시그날
4. 프런트 범퍼
5. 포그램프
6. 사이드미러(풀 네임은 사이드 리어뷰 미러 입니다)
7. 윈드실드 글라스
1. 휀다
2. A필러(프런트 도어가 장착된 문을 열어야 보이는 기둥을 말하는 것이지요)
3. 프런트 도어
4. B필러(쎈터필러라고도하며 리어 도어가 장착된 기둥을 말합니다
5. 리어 도어
6. 사이드 실(2/4/7 번의 아랫쪽 바닥면이 닿아있는 가로로 긴 부분입니다.)
- 사진상에는 에어로파츠가 장착되어 있어서 오해의 소지가 있으므로 붉게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7. C필러
8. 쿼터판넬
- C필러와 같은 어셈블리이나 내부구조가 분리되어있으므로 다르게 분류합니다.
뒤휀다, 리어휀다 등은 부적절한 명칭입니다.
1. 트렁크 리드
-흔히 트렁크 라고 불리우는 곳은 트렁크 내부의 빈 공간이고 그 덮개인 아우터 판넬의 명칭은 트렁크 리드 입니다.
2.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예전에는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를 구성하는 브레이크등과 턴 시그날, 그리고 후진등이 각각으로 분리되어 있었으므로 테일램프라고 명칭하였으나 요즘은 화물용의 차량 이외에는 대부분이 통합되어 장착되므로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 명칭합니다.
3. 리어 범퍼
1. 쇼크 압소바 마운팅
2. 쿨런트 리저버 탱크
- 냉각수 잔량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3. 파워 플루드 리저버 탱크
4. 파워펌프
5. 써지탱크
6. 헤드커버
7. 배기매니폴드
-사진에 보이는 알미늄제 커버는 배기매니폴드를 덮는 커버이고 실제 배기 매니폴드는 그 속에 있는 철제 파이핑입니다.
8. 라디에이터
9. 쓰로틀 바디
10. 에어 엘리먼트 하우징
1. 스티어링 휠
- 핸들은 국적 불명의 용어입니다. 영어처럼 보이지만 미국에서도 스티어링 휠을 핸들이라고 부르지 않습니다.
2. 에어 벤틸레이션 덕트
3. 크러시 패드
- 예전에는 대시보드라고 했었는데 에어백을 장착한 차량들이 나오면서 원인 불명으로 크러시 패드로 모든 제작사가 명칭을 바꾸었습니다.
4. 클러스터 페시아 판넬
5. 글로브박스(저는 이곳을 쓰레기통으로 쓰고 있는데 원래는 장갑을 넣어 두라는 곳이었나 봅니다...ㅡㅡ;)
6. 센터 콘솔